주제 : 우리 민조의 소중한 언어 한글, 한글의 우수성에 대하여 생각해보고,
한글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 서술하세요.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란 뜻이고, 조선 왕조 제4대 임금인 세종대왕이 그때까지 사용되던 한자가 우리와 구조가 다른 중국의 표기를 위한 문자 체계여서 대 다수 백성들이 배워 사용할 수 없는 사실을 안타까워하여 1443년에 우리말의 표기에 적합한 문자 체계를 완성한 것이다. 세종 28년에 정인지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설명한 한문해설서를 발간하였는데, 책의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하였다.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세종은 새로 만든 새 문자에 대하여 창제의 목적을 밝힌 서문과 새 문자 하나하나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예시하고 설명한 글을 짓고, 집현전의 학자들에게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용례를 짓도록 하여 책을 만들고 이것을 백성들에게 공표하였다. 한글의 우수성으로는 세계의 많은 민족들이 자기의 언어를 표기하기 위하여 문자를 만들려고 노력했지만, 한글과 같이 일정한 시기에 특정한 사람이 이미 존재한 문제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고 독창적으로 새 문자를 만들고, 한 국가의 공용문자로 사용하게 한 일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일이다. 그 이유는 새 문자에 대한 해설을 책으로 출판한 일이 유례가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수한 한글을 쓰지 않고 신조어를 사용하는 것은 나쁜 일인 것 같다. 왜냐하면 한글을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힘들게 만들었는데, 우리 학생들이 신조어와 비속어 등으로 한글을 이상하게 바꾸고 우리말을 파괴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나는 한글의 우수성을 알기 때문에 비속어와 신조어 등을 많이 줄이고 우리말을 사용해야겠다.
평가 : 무선이는 훈민정음의 창제 과정, 한글의 우수성,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에 대해 주제에 알맞게 자세히 서술하였구나. 이 글만 읽어도 세종대왕님의 훌륭하신 마음과 반포하기 까지 많은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써야 했던 학자들의 대단함, 훈민정음의 소중함에 대해 알 수 있겠다. 그리고 열심히 공부한 탓에 큰 깨달음을 얻은? 것처럼 보이는 무선이가 기특하구나.^^ 앞으로 더 멋진 모습 기대할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