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광종의 과거제에 대해 서술하고, 과거제가 고려 사회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 서술하세요.
내용: 과거제는 광종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한 관리 선발 제도이다. 호족을 대신할 충실한 신하들이 필요했던 광종은 과거제를 실시하며 왕권을 강화할 수 있었다. 과거제는 958년 중국에서 온 쌍기의 권유를 받아들여 과거제를 본격적으로 실시하게 됐다.
과거제는 시험을 통해 관리를 선발하는 제도로 보면 편하다. 과거제를 실시하기 이전에는 노비안검법으로 호족을 견제했다가 과거제를 실시한 뒤에는 호족들의 권위를 자연스레 꺾을 수 있었다. 또한 과거제는 양인 이상의 신분이라면 누구나 시험에 응시할 수 있었기 때문에 신분의 한계를 넘은 좋은 예시로도 볼 수 있다.
양인도 시험을 볼 수 있게 되자, 백성들의 불만도 조금씩 줄어드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과거제로 학문도 발전하고 학교도 많아지며 고려에 좋은 효과를 불러들였다.
고려의 과거제는 제술업, 명경업, 잡업으로 나뉜다. 제술과는 문학적 재능과 정책을 시험하고, 명경과는 유교 경전에 대한 이해 능력을 시험하여 문신을 뽑았다. 잡과는 법률, 회계, 지리 등 실용 기술학을 시험하여 기술관을 뽑았다. 이는 조선시대까지 이어졌으며, 갑오개혁인 1894년에 신분제가 사라지면서 자연스럽게 과거제도 사라지게 됐다.
이러한 과거제도로 고려의 틀을 다진 광종은 호족의 기를 꺾어놓으며 나라를 안정시키게 된다. 또한 시험을 봐서 능력이 있는 사람만 뽑게 되며 더 효율적으로 쓸모있는 신하들을 많이 배출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왕권이 강해지게 되면서 고려는 더욱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나는 이러한 과거제를 오늘날에 수능으로 볼 수 있다고 본다. 과거제로 우수생을 뽑듯이 수능도 성적이 좋아야 좋은 대학에 갈 수 있기 때문이다.
평가: 동우 글의 흐름이 많이 좋아졌구나! 글을 많이 써보면서 실력과 자신감이 많이 생긴 것 같아! 광종의 과거제에 대해 빠짐없이 핵심을 잘 서술했고, 과거제가 고려 사회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 동우는 긍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춰서 잘 써주었구나! 주제에 벗어나지 않고 핵심을 잘 써준 것 매우 칭찬해! 다만, "과거제도를 통해 광종이 호족의 기를 꺾을 수 있었다"는 사실이 다른 표현으로 계속 반복되고 있어~ 똑같은 내용을 자꾸 반복해서 쓰는 건, 쓸 말이 더이상 없는데... 분량은 채우고 싶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야ㅎㅎ 그럴 때는 동우가 쓴 글을 총 정리+마무리하면서 마지막 문단에 다시 한 번 정리해보거나, 동우의 창의적인 생각들을 추가로 서술해주면 좋겠지? 다음 글을 쓸 때는 반복적으로 했던 말을 또 쓴 부분은 없는지 점검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