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 인더스 문명과 카스트 제도에 관해 서술해 보세요.
인더스 문명은 인더스 강에서 시작된다. 인더스 강에는 드라비다족 이라는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하지만 아리아인 이라는 유럽인 종이 인더스 강을 침입했고 아리아 인이 드라비다족을 지배하여 만든 신분제도인 카스트 제도가 등장했다. 이 제도를 카스트 제도라고 한다. 이 카스트 제도에서 1등급은 브라만, 2등급은 크샤트리아, 3등급은 바이샤, 4등급은 수드라이며 여기에 속하지 않은 신분은 불가촉 천민이라 불리는 달리트가 있다. 먼저 브라만은 제사장이고 인도 인구에서 약 4%만 차지했다. 정치, 귀족, 군사가 있는 크샤트리아는 전체의 약 7%만 차지하며 평민인 바이샤는 전체의 약 12% 밖에 없었다. 바이샤까지는 아리아인이 속했고, 나머지는 다 드라비다족이었다. 둘다 천민이자 노예이긴 했지만 달리트는 인간 취급도 받지 못하였다. 주로 사람들이 하기 싫어하는 똥, 오물 치우는 일들을 했다.
인더스 문명, 인도하면은 힌두교가 있는데, 힌두교 신은 세상을 창조하였다고 알려진 브라마와 두 번째는 비슈누 신이다. 비슈누 신은 우주의 질서를 상징하고 마지막 시바신은 악을 처벌한다는 신이다. 이렇게 힌두교 신 3명을 알아보았다. 그 다음은 불교가 있다. 인도의 부처님은 우리가 아는 부처님과는 달리 엄청 화려한 것 같다. 동서교류의 영향으로 불상이 모습이 서양 인물 느낌이 나는 것 같다. 인도 불상의 모습을 보면 장발의 물결머리에 오똑한 코, 옷에는 굵은 주름을 표현하였다. 원래는 이런 모습이었는데, 그게 우리나라로 전달되면서 우리나라 스타일로 바뀌었다. 그런데 그 스타일이 중국과 비슷해 중국에서 전해졌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인도에서 전해져 왔다. 카스트 제도를 공부하며 느낀 건, 이러한 카스트 제도가 폐지 되었어도 한동안 차별이 심했다는 게 참 안타깝다.
교사평 : 예주는 인도의 신분제도인 카스트 제도에 대해 서술하며, 카스트 제도가 왜 체계화 되었는지, 카스트 제도의 각 계층과 특징을 언급해 주고 이에 관한 예주의 생각과 인도의 힌두교, 간다라 미술을 상징하는 불교미술에 관해서도 정리해 주어 인더스 문명 하면 꼭 알아야 할 내용들을 잘 정리해 준 것 같아 칭찬해 주고 싶다.^^ 전의 글들과 비교했을 때, 갈수록 글의 흐름과 느낀 점 등 글쓰기 실력이 좋아진 것 같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