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 일제강점기 때의 통치방법을 시대별로 정리하고, 이에 따른 우리민족의 저항에 대해서 서술하세요.
일제강점기 때의 통치방법은 3가지로 나누어진다. 1번째는 1910년 무단통치기이다. 먼저 조선총독부 설치, 헌병 경찰 전국 배치 또 교사에게 제복을 입고 칼을 차게 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무단통치를 했다. 하지만 1919년 3월 1일 서울 인사동에서 각 종교계 지도자로 구성된 민족 대표 33명이 모여 독립 선언식을 하고 학생과 시민들은 탑골 공원에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태극기를 흔들며 독립만세 운동을 벌였다. 그래서 독립만세운동은 전국적으로 퍼져 나갔고 우리 민족이 사는 국외에 까지 이르게 되었으며 농민, 노동자, 상인 등 다양한 계층이 3.1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독립운동가들은 효과적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을 수립했고 임시정부는 무관학교를 세워 무장독립군을 양성하여 한국광복군을 조직하고, 독립신문을 발간했다. 그래서 3.1운동의 외국에서의 영향은 중국의 5.4운동과 인도 간디의 비폭력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그래서 일본은 1920년에 무단통치기에서 문화통치기로 바꾸었다.
변경 내용으로는 보통 경찰제도 실시, 언론과 출판, 결사의 일부 허용과 교육의 기회 확대인데, 문화 통치기의 실체는 경찰력 증가, 치안유집버으로 독립운동 탄압, 검열강화로 신문기사 삭제, 정간폐간 그리고 고등전문 교육제안, 육상초등교육 또 산미증식계획, 회사령 폐지 등 여러 가지로 일제 대한민국을 혼란스럽게 했다. 마지막으로 1930~1940년대는 민족말살통치가 시작됐다. 우선 첫 번째로 일본의 침략전쟁 확대로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이 있다. 또 한국인의 효율적 동원, 한국인 민족정신 말살과 일본인의 동화 또 내선일체, 일본식 성명 강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민족말살통치를 했다. 그리고 병참기지화로 군사물자 보급을 목적으로 했고 식민지 공업화 추진을 했다. 그리고 이 시기에 강제징용, 강제징병, 위안부 등이 있었다.
교사평 : 예서는 일제강점기 시기의 일제의 통치 방식을 무단통치, 문화통치, 민족말살통치의 시대별로 나누어 자세히 잘 정리해 주었어. 통치 방식이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넘어가는 사건이 되었던 3.1운동에 관해서도 언급해주고, 3.1운동의 영향에 대해서도 서술해 주었는데, 3.1운동 내용을 간단하게나마 정리해 주었다면 더 좋은 글이 되었을 것 같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