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 일제강점기 때의 통치방법을 시대별로 정리하고, 이에 따른 우리민족의 저항에 대해서 서술하세요.
일제가 통치하는 과정은 1910년대, 1920년대, 1930~1940년대로 총 3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먼저 1910년대에는 무단통치기였다. 조선총독부도 설치하고 헌병 경찰들도 전국에 배치했다. 그리고 ‘토지조사사업’이라는 것도 생겼는데, 그 결과로는 일본인들이 많은 토지를 가졌다. 이 시기에 일본은 회사령을 내렸다. 회사령은 한국인의 기업 설립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 다음, 1920년대에는 문화통치기였다. 보통 경찰제도를 실시하며 언론, 출판, 결사를 일부 허용하고 교육의 기회를 확대 하였다. 그리고 산미증식계획을 실시하고 1910년대에 있었던 회사령도 폐지했는데, 일본 기업의 한국 진출을 위해서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1930년~1940년도에는 민족말살통치를 실시했다. 일본의 침략전쟁을 확대했고 중일전쟁(중국과 일본의 전쟁)도 했다. 그리고 한국인을 효율적으로 동원하기 위해 ‘나선일체’를 실시하고 일본식 성명을 강요하고 국가 총 동원법을 제정하여 강제징용, 강제징병과 강제 위안부가 있었다고 한다. 이에 맞선 우리 민족의 저항은 1932년을 전후로 의거한 이봉창과 윤봉길이 있었다. 일단 이봉창은 일본 국왕을 없애기 위해 일본 도쿄에서 일본 국왕을 향해 폭탄을 던지지만 뜻대로 이루지 못하였다. 그리고 윤봉길은 중국 상해에서 열린 일본군의 상해 점령 축하 기념식장에 물통과 도시락 모양으로 만든 폭탄을 던졌는데, 이에 일본의 주요 인사들이 죽거나 부상을 당했고, 3.1운동은 중국의 5.4운동과 인도 간디의 비폭력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
이에 대한 저의 생각은 우리민족이 너무 자랑스럽다고 생각하고 한편으로는 정말 힘이 들었을 것 같다. 상상만 해도 끔찍하고 고생을 많이 했다는 말을 꼭 전해주고 싶다는 생각 밖에 들지 않는다.
교사평 : 수민이는 일제강점기 시기의 일제의 통치 방식을 시대별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설명해 주었구나! 무단통치, 문화통치, 민족말살통치의 방법으로 나누어 실시했던 내용을 정리해 주고, 우리민족의 저항에 관해 주제에 맞게 잘 정리해 주었어.^^ 3번째 문단의 3.1운동 내용에 관해서도 좀 더 서술해 주었다면 좀 더 좋은 글이 되었을 것 같아! 다른 나라의 민족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만 언급해 준 것이 좀 아쉽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