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능력인증시험에 관한 안내
국사편찬위원회는 그 동안 한국사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2006년부터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치러왔는데 10년이 지난 지금, ‘세계사능력검정시험’ 을 시행을 확정, 중앙일보사가 시행기관으로 선정되어 2016년 8월에 첫 시험을 실시 합니다.
세계사능력검정시험을 실시하는 주된 목적은 세계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균형 잡힌 역사관을 심어주기 위함으로 고차원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입니다. 글로벌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세계사를 모른다는 것은 눈을 감고 대양을 헤엄치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입니다.
처음 실시하는 만큼 고급, 중급, 초급 시험으로 나뉘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과는 달리 세계사능력검정시험은 한 번의 시험 결과에 따라 고급, 중급, 초급으로 분류된다. 이 또한 합격자들의 취업과 승진 등 혜택을 위해 세부적인 지침을 마련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사능력검정시험의 시행으로 리더의 필수 덕목인 균형 잡힌 역사관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계사능력검정시험의 출제 유형 및 문항 수준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과 마찬가지로 난이도가 비슷할 전망이며, 출제유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세계사능력검정시험의 출제 유형
세계사능력검정시험의 문항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과 마찬가지로 역사교육의 목표 준거에 따라 다음의 여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 됩니다.
① 역사 지식의 이해
역사 탐구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역사적 사실·개념·원리 등의 이해 정도를 측정합니다.
② 연대기의 파악
역사의 연속성과 변화 및 발전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영역입니다.
역사 사건이나 상황을 시대 순으로 정확하게 이해하고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가를 측정합니다.
③ 역사 상황 및 쟁점의 인식
제시된 자료에서 해결해야 할 구체적 역사 상황과 핵심적인 논쟁점, 주장 등을 찾을 수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문헌자료, 도표, 사진 등의 형태로 주어진 자료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를 포착하거나 변별해내는 능력이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④ 역사 자료의 분석 및 해석
자료에 나타난 정보를 해석하여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정보의 분석을 바탕으로 자료의 시대적 배경과 사회적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가를 측정합니다.
⑤ 역사 탐구의 설계 및 수행
제시된 문제의 성격과 목적을 고려하여 절차와 방법에 따라 역사 탐구를 설계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⑥ 결론의 도출 및 평가
주어진 자료의 타당성을 판별하고, 여러 자료를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가를 묻는 영역입니다.
※ 기타 자세한 문의는 학원(031-555-5550)으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